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

(73)
[자료구조][C언어]그래프란?(2)_그래프의 구현 저번 시간에는 그래프의 개념과 그래프는 어떻게 구성되는지에 대해 알아보았었다. 저번 시간에 대해 간단하게 요약하자면 그래프는 정점과 간선으로 구성되어있다는 정도만 기억하면 될 듯하다. 이번 시간에는 그래프를 C언어로 직접 구현해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해볼 것이다. 배경 지식 먼저 저번 시간에서도 배웠다시피, 그래프를 나타내는 방법에는 크게 두 가지 방법이 있다. 인접 리스트 방법과 인접 행렬 방법이 있는데 오늘 우리는 인접 리스트를 이용해서 그래프를 구현해볼 생각이다. 왜냐? 인접 행렬로 나타내면 객체(정점)가 숫자가 아닌 경우 나타내기가 조금 어려워진다. 또한 행여나 인접 행렬의 열과 행의 개수보다 더 많은 정점이 생길 경우 처리가 어렵기 때문이다. (정점 7개에 7X7 인접 행렬인 그래프가 존재할 때,..
[자료구조][C언어]그래프란?(1)_그래프의 개념 그래프의 개념 그래프란 지하철 노선도, 도로망 등 연결되어있는 것들 간의 관계를 표현하는 자료 구조라 생각하면 된다. 도로망, 교통망, 길찾기 기능 등등을 만들 때 매우 적절하게 사용이 가능하다. 그래프의 정의 및 구조 그래프는 다음 그림과 같이 객체인 정점(Vertex, or Node)과 이러한 정점들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간선(Edge, or Line)으로 구성되어있다. 그래프 관련 용어 V(G): 그래프G의 정점들의 집합 E(G): 그래프G의 간선들의 집합 부분 그래프: 그래프의 부분집합. V(G)와 E(G)의 부분집합으로 구성된 그래프 인접 정점(adjacent Vertex): 한 정점에 대해 간선으로 직접적으로 연결된 정점들을 의미한다. ex) G1의 0의 인접 정점은 1, 2이다. 그래프의 차..
[자료구조][C언어]스택이란?(5)_후위표기식 만들기 저번 자료구조 시간에서 스택을 이용해서 후위 표기식을 계산하는 알고리즘을 C언어로 구현해보는 시간을 가졌었다. 이번 시간에는 스택을 이용해서 중위 표기식을 후위 표기식으로 만드는 알고리즘에 대해서 다루어 보도록 할 예정이다. 스택의 활용_3 후위표기식 만들기 배경지식 저번 시간에 다루었던 중위 표기식, 후위 표기식에 관한 지식을 간단하게 정리하자면 중위 표기식은 두 피연산자 사이에 연산자를 표기하는 방식이며, 후위 표기식은 피연산자를 먼저 표기한 뒤, 피연산자를 표기하는 방식이다. 기억이 잘 안 나거나 더 자세히 알아보고 싶으면 아래의 글의 배경지식 부분을 참고하길 바란다. https://all4null.tistory.com/7 [자료구조][C언어]스택이란?(4)_후위 표기식의 계산 저번 시간에는 스택을..
[Tensorflow][Keras]Word2Vec 코드로 구현하기 저번 시간에는 Word Embedding 기법 중에서 Word2 Vec라는 기법이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실제로 Tensorflow의 Keras를 사용해서 실제로 텍스트 데이터를 Word2Vec기법을 사용해 Embedding Vector으로 바꾸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해보겠습니다. 필요한 라이브러리 from tensorflow.keras.preprocessing.text import Tokenizer from tensorflow.keras.processing.sequence import pad_sequences from tensorflow.keras.layers import Embedding 위 라이브러리들을 차례대로 설명하자면, 문장을 단어의 인덱스 배열들로 바꾸어주는 Tok..
[Tensorflow][Keras][NLP]Word2Vec 이란? 이번에는 자연어 처리를 위해 단어들을 어떤 식으로 모델이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인 벡터로 바꿀 수 있을지에 관한 기법인 Word2Vec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단어들을 모델이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로 바꾸는 방법에는 대표적으로 One-Hot-Encoding과 Word Embedding이 있습니다. One-Hot-Encoding One-Hot-Encoding은 단어별로 index를 부여해서 표현하고자 하는 단어에 1을 나타내는 기법입니다. 예를들어, 단어가 A, B, C, D 총 4개가 있고 각각에 차례대로 index를 부여하고, 이때, A를 표현하고자 하면 [1,0,0,0]으로 표현이 가능합니다. 이러한 방법의 장점은 직관적이고 구현이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단점으로는 단어의 개수가 곧 ..
[풀스택개발일지#4][HTML]텍스트 태그 저번 시간에는 HTML의 기본 구조와 HTML을 이루는 태그가 무엇인지에 관해 알아보았다. 이번 시간에는 HTML 태그 중에서 텍스트와 관련된 태그들에 관해서 살펴볼 예정이다. 단락을 만드는태그 태그 단락이란 줄 바꿈이 들어간 문단이라 생각하면 편하다. 내용 형대로 사용된다 태그 쓴 내용 그대로 출력을 해주는 태그이다. 내용 형태로 사용된다. 태그 줄바꿈을 해주는 태그이다. 단독으로 쓰인다. 태그 수평 줄을 추가해주는 태그이다. 단독으로 쓰인다. * 태그 단락에서 텍스트 일부만 묶어서 스타일 등을 적용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태그이다. 내용 으로 쓰인다. 한 번에 정리하자면 이렇게 된다. h1태그이다 h2태그이다 쓴내용이 그대로 출력이 된다는 태그이다 단락의 내부에 span을 취해보았다. 강조하는데 사용되..
[TensorFlow][Keras]ImageDataGenerator 사용법 이미지를 처리하는데 만약 데이터들의 크기가 일정하지 않을 경우, 전처리를 일일이 해주어야 하는가?? 그렇지 않다. ImageGenerator을 사용하면 이미지의 크기를 모두 설정된 크기로 바꾸어줄 뿐만 아니라 , 이미지의 양을 늘려 보다 많은 훈련 데이터를 만들어내 모델의 성능을 최대한으로 이끌어내는 데 도움이 된다. 그렇다면 이 ImageGenerator은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가?? from tensorflow.keras.preprocessing.image import ImageDataGenerator 을 통해서 import 한 후에 igen=ImageDataGenerator(rescale=1/255, validation_split=0.2,horizontal_flip=True, vertical_flip..
[풀스택개발일지#3]HTML의 기본 구조 저번 시간에는 HTML의 개발 환경을 만들었으며 이번에는 HTML의 기본적인 구조와 문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HTML의 태그 HTML은 마크업 언어로, 태그로 문서나 데이터를 구분해 웹문서를 나타내는 언어이다. 태그란 무엇인가?? 일종의 분류하는 식별표지 같은 것으로 이해하면 편하다. HTML에서의 태그는 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이미지 파일을 표시할 때, 이런 식으로 표현이 된다. 대부분의 경우, 들어갈 내용 이나 들어갈 내용 처럼 여는 태그(, )와 닫는 태그(, 가 쌍으로 표현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보이는 내용 또한 태그는 이런 식으로 여러 가지 속성, 즉 해당 태그에 대한 설정들도 함께 쓸 수 있다는 점도 염두에 두자. HTML의 구조 html은 어떤 구조로 쓰여있을까?? 알아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