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65) 썸네일형 리스트형 [홈서버]홈서버 운영체제 선택 가이드 - 나만의 서버 구축기 #2 지난 글에서는 제가 홈서버 하드웨어로서 미니 PC를 고르기까지의 이야기를 다뤘었습니다. 저번 시간에 홈서버로 사용할 하드웨어를 구했으므로오늘은 사용할 운영체제를 선택할 때 어떤 점을 고려해야 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운영체제 하면 보통 윈도우가 많이 떠오르실 텐데요,윈도우 운영체제는 GUI 운영체제이며 사용자 친화적이라 사용하기에 편하고 좋습니다.심지어 서버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문제가 있습니다.바로 윈도우 운영체제는 24시간 이상 돌리는 것을 염두에 두고 만들어진 운영체제가 아니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재부팅을 해주어야 한다는 점입니다. (업데이트 및 메모리 누수 등이 원인)만약 24시간 넘게 장기간동안 구동 시, 시스템이 불안정해지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그렇다면 서버를 위한 운영체제로.. [리눅스].desktop 파일이란? - 실행가능한 바로가기 만들기 - 우분투 24.04 지난 시간에서 우분투에서 분수 스케일링을 사용하는 경우 화질이 깨지는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관해 이야기했었습니다.그중에서 .desktop 관련한 설명이 조금 부실했던 것 같아 조금 보충하고자 합니다.1. Desktop Entry(.desktop) 파일이란?2. Desktop Entry(.desktop) vs 심볼릭 링크(soft link)3. .desktop 파일의 일반적인 경로4. 바탕화면에서 사용하고 싶을 경우5. 참조1. Desktop Entry (.desktop) 파일의 개념먼저, .desktop 파일은 desktop entry 파일이라고도 불리며 실행파일에 대한 바로가기 파일을 정의하는 구성파일이라고 보시면 됩니다.자세히 설명하자면 이름, 실행할 파일(혹은 명령)의 경로, 실행 시 옵션, 아이.. [홈서버]시행착오가 가득했던 서버 하드웨어 선택기 - 나만의 서버 구축기 #1.5 지난 글에서는 제가 홈서버 하드웨어선택 시 겪었던 시행착오 관해 다루었었습니다. 오늘은 제가 서버 하드웨어를 고르면서 겪었던 시행착오에 관해 한번 이야기해보고자 합니다.제가 겪은 시행착오들이 여러분들께도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길 바라며 시작하겠습니다.1. 데스크톱 서버의 문제점 및 시행착오1-1. 팬 속도 설정 프로그램 MSI Center1-2. 전력 조절 프로그램 Ryzen Controller2. 후보군 탐색3. 결론4. 참조 제가 처음에 홈서버를 구상하던 경우, 아래의 글 내용과 같이 처음에는 사용하던 데스크톱으로 사용했었으나 현재는미니 PC를 별도로 구매해 사용하고 있습니다.저의 경우, 초반에는 기존에 사용하던 데스크톱을 이용해 홈서버를 운영하였습니다...(중략)...기타 여러 단점이 발생해 별도의 .. [우분투]분수 스케일링 사용 시 VSCode 흐림 현상 해결하기 - Ubuntu 24.04 LTS 저난 글에서는 우분투에서 분수 스케일링을 사용하면 크롬이 흐려지는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오늘은 저번과 비슷한 문제를 해결하는 법을 다루고자 합니다. VSCODE는 크롬처럼 간단한 설정을 제공하지 않아 다른 방법으로 해결해야 합니다. 오늘 소개할 방법은 간단하며 다른 프로그램에도 사용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해결방법해결 방법은 간단합니다. 아래 명령어와 같이 터미널에서 VSCode를 실행할 때 옵션을 추가하면 됩니다.code --ozone-platform-hint=wayland --enable-wayland-ime --wayland-text-input-version=3 하지만 매번 터미널을 켜 명령어를 입력하여 사용하기에는 생각보다 귀찮은 일입니다.그럴 땐 다음 방법을 사용하시면 됩니다.바로.. [우분투]분수 스케일링 사용 시 크롬 흐림 현상 해결하기 - Ubuntu 24.04 LTS 오늘은 우분투 환경을 세팅하면서 생긴 문제에 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저는 최근 서버 컴퓨터를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우분투로 바꾸었는데 하나 둘 이것저것 세팅하는 중 문제가 발생했습니다.27인치 QHD 모니터를 사용 중이었는데 화면이 너무 작아 스케일링을 통해(배율 설정) 눈에 편하게 세팅을 하니 크롬이 흐려지는 문제가 발생하였던 것이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가지를 시도해 보았고 가장 효과적이었던 방법 몇 가지를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1. 문제가 발생한 경위2. 시도해본 해결법..2-1. 분수 스케일링을 사용하지 않기..2-2. 정수 스케일링을 사용하며 해상도를 낮추는 방법으로 균형을 찾기..2-3. 크롬에서 별도의 설정하기3. 결론4. 참조1. 문제가 발생한 경위문제가 발생한 상황을 자세히.. [홈서버]홈서버 하드웨어 선택 가이드 - 나만의 서버 구축기 #1 지난 글에서는 홈서버가 무엇인지에 관하여 간략하게 알아봤습니다.이제 본격적으로 홈서버를 세팅하는 과정을 기록할 예정인데, 오늘은 홈서버에 사용될 하드웨어에 관해 알아볼 예정입니다.1. 홈서버를 위한 하드웨어 선택 기준2. 하드웨어 종류별 특징3. 요약4. 참조1. 홈서버를 위한 하드웨어 선택 기준이제 본격적으로 들어가 봅시다. 홈서버를 위한 하드에어로는 무엇이 적절할지 생각해 봅시다.기본적으로,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컴퓨터만 있다면, 어떠한 장비를 사용하든 상관이 없습니다. 서버라는 것은 언제 어디서나 항상 서비스가 가능해야 하기에, 24시간 항상 켜져 있어야 합니다. 그러므로 24시간을 돌리는 것이 크게 문제가 되지 않아야 좋은데, 이는 전기를 적게 소비하거나 소음이 적은 장비를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홈서버]나는 홈서버를 왜 만들게 되었는가? - 나만의 서버 구축기 #0.5 지난 글에서 홈서버에 관해 간략하게 알아보았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홈서버를 왜 구축하게 되었는지 이유를 써보고자 합니다.어린 시절의 서버 경험저의 경우엔, 제 첫 서버는 어린 시절의 마인크래프트 서버였습니다. 지금 와서 생각해 보면 서버라기엔 부족한 점이 많았지만 그 당시에는 어떻게든 서버를 열고 싶어 구글에서 찾아보며 포트포워딩하고 무료도메인까지 구해 서버를 운영했습니다. 지금 와서 생각해 보면 초등학생이 참 겁도 없었구나 라는 생각이 들지만, 생면부지의 사람들과 어울려서 같이 게임을 즐겼던 낭만 넘치는 기억이라 생각됩니다. 이러한 경험들 덕분에 제가 현재의 취미를 가지고 진로를 결정하게 된 계기가 되지 않았나 라는 생각을 합니다.전공지식을 활용한 나만의 '무언가'를 만들고 싶어짐컴퓨터과에 진학을 한.. [홈서버]홈 서버란 무엇인가? - 나만의 서버 구축기 #0 안녕하세요 오랜만입니다. 오늘은 집에서 홈서버 돌리는 법에 관해 글을 써보려고 합니다. 갑자기 웬 홈서버냐?라고 하시냐면 요즘 다들 개인 프로젝트 올리는 용도로 개인 서버 많이 사용하곤 하더라고요.그래서 이참에 저도 클라우드 서버를 한번 만들어 보고자 했으나 몇몇 단점들 때문에 일단 개인 컴퓨터를 이용해서 개인서버를 돌리기로 했습니다. 앞으로 제가 홈서버를 구축해 온 방법과 그 과정에서 겪었던 문제와 해결한 방법들을 기록할 예정입니다.오늘은 홈서버가 무엇인지에 관해 간략하게 알아봅시다.1. 홈서버란 무엇인가?2. 홈서버로 무엇을 할 수 있는가?3. 홈서버 만들려면 무엇이 필요한가?4. 참조1. 홈서버란 무엇인가?홈서버가 무엇인지도 잘 모르시는 분들이 계실 텐데요.홈서버란 주로 집에서 남는 개인용 PC .. 이전 1 2 3 4 ··· 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