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글에서는 제가 홈서버 하드웨어로서 미니 PC를 고르기까지의 이야기를 다뤘었습니다.
저번 시간에 홈서버로 사용할 하드웨어를 구했으므로
오늘은 사용할 운영체제를 선택할 때 어떤 점을 고려해야 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운영체제 하면 보통 윈도우가 많이 떠오르실 텐데요,
윈도우 운영체제는 GUI 운영체제이며 사용자 친화적이라 사용하기에 편하고 좋습니다.
심지어 서버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문제가 있습니다.
바로 윈도우 운영체제는 24시간 이상 돌리는 것을 염두에 두고 만들어진 운영체제가 아니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재부팅을 해주어야 한다는 점입니다. (업데이트 및 메모리 누수 등이 원인)
만약 24시간 넘게 장기간동안 구동 시, 시스템이 불안정해지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그렇다면 서버를 위한 운영체제로 주로 무엇이 사용되느냐? 라고 하신다면
아래 통계를 확인해보시면 유닉스 계열의 운영체제가 주로 사용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리눅스 계열의 운영체제는 단점이 있습니다. 사용자 친화적이지 않아 초보자가 사용하기에 쉽지 않습니다.
고로 각종 문제가 생길 확률도 높으며 해결하기도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전문가가 사용하기에 적합한 운영체제입니다.
운영체제 종류별 특징
윈도우 계열
● Microsoft에서 개발한 제품이며 라이선스가 유료
● 주로 개인용 혹은 기업 PC의 운영체제로 사용
● GUI를 지원하며 사용자 친화적
● 문제 발생 시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지원을 받을 수 있음
● 장기간 사용을 위해서 재부팅이 필수적
● 절대다수의 PC가 사용하므로 다양한 소프트웨어 지원
리눅스 계열
● Linux Torvalds(리누스 토르발스)가 처음 개발
● POSIX를 준수하므로 유닉스와 호환
● 기본적으로 CLI를 지원, 제한적으로 GUI도 지원 가능
● 타 운영체제에 비해 안정성이 좋아 재부팅이 필요 없어 서버에 주로 사용
● 오픈소스이며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커뮤니티가 존재
-> 문제 발생 시 커뮤니티에서 해결방법을 찾을 수 있음
-> 취약점 발생 시 수많은 사용자들이 직접 패치를 하여 신속한 보완 가능
● 다양한 배포판이 존재
- 데비안
- 우분투
- CentOS
- 레드헷
● 오픈소스이므로 커스터마이징이 자유로움
● 휴대전화에서 슈퍼컴퓨터까지 이르는 다양한 기기에 이식 가능
● 일부 소프트웨어 지원이 되지 않음(전문프로그램, 드라이버 등)
유닉스 계열
● 1970년대에 개발된 여러 장치에 이식이 가능한 최초의 운영체제이며 거의 모든 운영체제의 근원이 되는 OS
● 유닉스 커널을 기반으로 다양한 운영체제가 만들어짐(Mac OS, 안드로이드, 리눅스 .. 기타 등등)
● 대용량 처리 안정성이 요구되는 서버 제품군에 사용됨.
● 현재는 IBM, HP, Sun 등 에서 개발한 제품이 판매 중임
요약
운영체제 | 윈도우 | 리눅스 | 유닉스 |
배포방식 | 유료 | 오픈소스(무료) | 유료 |
라이선스 | Microsoft 독점 | GNU GPL | 회사마다 다르나 보통 독점 |
하드웨어 사양 | 높음 | 낮음 | 낮음 |
보안 | 취약점 패치가 느림 | 빠른 취약점 패치 가능 | 취약점 패치가 느림 |
개방성(커스텀) | 폐쇄적 | 개방적 | 폐쇄적 |
UI | GUI | 기본적으로 CLI, GUI도 지원 | 기본적으로 CLI |
안정성 | 장기간 사용시 재부팅 필요 | 장기간 사용에도 재부팅 필요 X | 장기간 사용에도 재부팅 필요 X |
다중 사용자 지원 | 제한적 | 지원 | 지원 |
결론
이렇게 윈도우, 리눅스, 유닉스 운영체제들을 각각 비교해 보았습니다.
조사 중 알게 된 사실인데, 서버에서 주로 사용되는 프로그램들의 경우, 윈도우 보단 리눅스에 특화된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장점들 때문인지, 개인서버조차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돌리는 사람 보다 리눅스에서 돌리는 사람이 압도적으로 많았습니다.
그래서 커뮤니티 등에서 정보를 찾을 때 윈도우에 비해 비교적 찾기 쉬웠습니다.
게다가 전공자이다보니 기반지식이 있어 문제를 찾기도 수월할 것으로 생각되며 코드를 보는 것이 일상이라 CLI에 큰 거부감이 없었습니다.
심지어 커스텀이 자유롭다는 것을 보고 오히려 맘에 들기까지 하였습니다.
위 특징들과 이유 덕분에 저는 윈도우가 아닌 리눅스로 사용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우분투 설치 및 사용방법에 대해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참조
https://w3techs.com/technologies/overview/operating_system
Usage Statistics and Market Share of Operating Systems for Websites, March 2025
Technologies > Operating Systems Usage statistics and market shares of operating systems for websites Request an extensive operating systems market report. Learn more This diagram shows the percentages of websites using various operating systems. See techn
w3techs.com
"유닉스", 위키백과, last modified Apr 3. 2025, accessed Apr 12. 2025,
https://ko.wikipedia.org/wiki/유닉스
유닉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유닉스 및 유닉스 계열 구조도 유닉스(영어: Unix, 등록상표명 UNIX)는 교육 및 연구 기관에서 즐겨 사용되는 범용 다중 사용자 방식의 대화식, 시분할처리 시스템
ko.wikipedia.org
"리눅스", 위키백과, last modified Apr 3. 2025, accessed Apr 12. 2025,
https://ko.wikipedia.org/wiki/리눅스
리눅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리눅스(Linux)개발자리누스 토르발스 (커뮤니티 주체)프로그래밍 언어C, 어셈블리어OS 계열유닉스 계열상태사용중,개발 중소스 형태오픈 소스최초 버전 출시일19
ko.wikipedia.org
'개인프로젝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홈서버]시행착오가 가득했던 서버 하드웨어 선택기 - 나만의 서버 구축기 #1.5 (0) | 2025.03.29 |
---|---|
[홈서버]홈서버 하드웨어 선택 가이드 - 나만의 서버 구축기 #1 (0) | 2025.03.23 |
[홈서버]나는 홈서버를 왜 만들게 되었는가? - 나만의 서버 구축기 #0.5 (0) | 2025.03.22 |
[홈서버]홈 서버란 무엇인가? - 나만의 서버 구축기 #0 (1) | 2025.03.20 |
[Python]추출한 멜론 노래 가사로 워드클라우드 만들기 with 캐글 (0) | 2023.01.09 |